旅行(僧伽藍摩을 찾아서)

마음으로 찾아 가는 寺(40회 차-1)

yaoming 2025. 6. 30. 10:52

 

  • 마음으로 찾아 가는 寺(40회 차-1)

    1.일    자:2025.7.1(화) 맑음.체감 온도 35˚의 무더위.
    2.누구랑:배○호,정○화,知人(李氏,朴氏) 我 心齋.
    3.오늘 찾은 寺:경북 영천시에 있는 전통사찰 13개 중 5곳.
    4.일   정:9시 구서역~건천IC~죽림사~영천 포교당~신흥사~은해사~점심~ 
                  영지사~永川 菁堤碑(청제비)~17시 부산 도착~저녁 후 귀가.
    5.기   타:1)너무 더운 날씨로 회원들이 고생이 많았다.
                  2)25.6.25일 국보로 지정된 永川 菁堤碑(청제비)를 본 것은 의외의 수확이였고
                     한국의 3대 堤防은 2)에서 설명한다.





    238.竹林寺-경북 영천시 금호읍 죽방길 279-57.

    죽림사는 조계종 10교구 은해사의 말사이다. 죽림사는 809년(신라 헌덕왕 1)에 창건되었다고 전한다.연혁은 알려진 바 없고,임진왜란으로 사찰이 전소되었다가 중건된 내용만 알려져 있다.그 뒤 1802년(순조 2) 다시 퇴락되었다가 1815년 임취봉·이상공 등의 시주로 중건하였고, 1830년에도 한 차례 중수가 있었으나, 6·25 전쟁으로 폐사되었다고 한다.
    그 뒤 1990년 주지 성수가 대웅전을,1995년에는 삼성각을 새로 지었다. 2000년부터 대대적인 불사가 시작되어 사역을 일신하였다.


    竹林寺 일주문 옆으로 대나무가 많고 위치한 곳은 遊鳳山이다.

 


寶華樓를 지나서(뒤쪽에는 五千觀音佛殿이란 현판이네)

 


極樂寶殿



羅漢殿 등 요사채가 "ㄷ"자 형식으로 배치되었네.



不見,不聞,不言(보지 말고,듣지 말고,나쁜 말을 하지마라)는 3佛像도 있다.이 글을 정확히 표현한 곳이 있어서 올린다.

 

부산 금정구에 있는 금천선원의 3불상.





239.永川 布敎堂-
경북 영천시 서문길 69.

300여 년 전 백조선사에 의하여 창건되었다고 전하며, 그 후 1939년에 은해사 주지였던 도수가 중창하였다. ‘영천 포교당’으로 개칭한 것은 1953년이며 청량사로도 불린다. 포교당 내 전각으로는 대웅전이 경사가 가벼운 언덕에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1981년 화재로 전소된 후 1986년 시멘트 건물로 신축되었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팔작지붕이다. 안에는 청동으로 조성한 석가모니불이 주불로 봉안되어 있으며, 그 좌·우로는 문수·보현보살의 양협시(兩脇侍)가 아닌 관음과 지장보살을 봉안하여 이채롭다.


경북 지방에는 포교당 형태의 전통사찰이 제법 있다.여기는 지금까지 보았던 다른 포교당하고는 조금 다르다는 느낌이 왔다.

  

좋은 글이 눈에 띄네.

 


능소화()는 갈잎 덩굴성 목본식물로서,여름에 피는 연한 주황색의 꽃이다.

 

 


접시꽃도 형형색색이네.





240.新興寺-경북 영천시 금호읍 금호로 360-29.

신라 진평왕 때 세워진 사찰이라는 설이 전하지만, 신흥사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다. 원래 평지에 있는 사찰이었으나 오래전에 경작지로 변하여 석탑만이 남아있던 것을 1957년 당시 금호 포교당에 있던 장백현이 신흥사로 중창하였다. 사역 내의 석탑으로 보아 통일 신라 시대의 사지일 것은 분명하지만 알려진 바가 없다.

들판에 있는 사찰은 처음 본 것이 아닌가?

 

 

3층 석탑은 보물이다.



布袋和尙(포대화상)은 제법 크네.



들판이라서 사찰 주변에는 "개망초"가 많이 피었다.




241. 靈芝寺-경북 영천시 영지길 471.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의 말사이다.신라 무열왕 때 의상이 웅정암(熊井庵)으로 창건하였다.고려, 조선 전기의 사세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고,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603년 지조(智照)와 원찬(元贊)이 중창하였다. 이때 절 이름을 현재의 영지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사찰 입구에 있는 임자갑 유공비(壬子甲有功碑)에 의하면 1774년에 중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1992년 비구니 중안(重岸)이 대웅전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일주문은 아직 佛事 중이네.



大雄殿.



심검당 등

 

 

梵鍾閣.



범종각의 형태도 특이하다.法鼓,雲版(우측 기둥 옆) 木魚(가운데)가 같이 걸려 있다.



사찰 입구에 화석이 있다는데,확인은 못 했다.



40회 차-2)에서 은해사 등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