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oming
2025. 7. 4. 17:26
落花
꽃이 지기로소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에 성긴 별이
하나 둘 스러지고
귀촉도 울음 뒤에
머언 산이 다가서다
촛불을 꺼야하리
꽃이 지는데
꽃 지는 그림자
뜰에 어리어
하이얀 미닫이가
우련 붉어라
묻혀서 사는 이의
고운 마음을
아는 이 있을까
저어하노니
꽃이 지는 아침은
울고 싶어라
참고:
1.趙芝薰(1920-1968) 서울 출생.
시인 국문학자.
2.이 시는 꽃이 지는 것을 거부하지 않고
대자연의 섭리로 담담하게 받아 들인다.
이형기의 낙화는 꽃이 지는 자연 현상을
통해 인간사의 사랑과 이별을 얘기하는
것으로 서로의 관점이 다르다.
3.주렴-粉壁紗窓과 더불어 규수 방을 묘사,
또는 거처하는 곳을 이르는 말.
4.歸蜀道-자규,불여귀,소쩍새와 동의어.
1948년에 발간된 서정주 시인의 두번째 시집
제목이자 대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