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으로 찾아 가는 寺(38회 차-1)
1. 일 자:2025.5.20(화) 맑음
2.누구랑:배○호,정○화,知人(李氏,仁川 李氏) 我 心齋.
3.오늘 찾은 寺:경북 경산시에 있는 전통사찰 중 6곳을 탐방했다.
4.일 정:9시 구서역~반룡사~제석사~보문사~안흥사~혜광사~경흥사
~16시 30분 구서역~저녁.
오늘 6곳 중 3곳(위 붉은 색)은 전통사찰인지 의문이 간다. - 傳統寺刹이란?(24.10.20일자 블로그)을 다시 보면서 그 뜻을 이해하려 한다.
- 전통사찰은 불상 등 불교신앙의 대상으로서의 형상을 봉안하고 승려가 수행하며 신도를 교화하기 위하여 건립,
축조된 건조물(경내지, 동산 및 부동산을 포함)로서 문화관광부장관이 전통사찰로 지정하여 각 시.도에 등록된 사찰 - 전국의 사찰 수는 약 17,141여개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중 전통사찰로 지정 등록된 사찰은 982개 사찰로 전체 사찰
대비 5.7%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224.盤龍寺-경북 경산시 용성면 용전1길 60
반룡사는 경북 경산시 용전면 구룡산 자락(반룡산)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의 말사이다. 661년 원효대사가 창건하였으며, 고려 전기에 원응국사가 ‘신흥암’이라는 이름으로 중창하였다. 이후 임진왜란을 겪으며 소실되었고, 조선 후기에 사찰의 면모를 회복하였다. 반룡사는 인조 대부터 숙종 대까지 60여년 동안 총 25개의 전각을 건립하여 대가람을 이루며 ‘신흥사’를 반룡사로 개칭하였다. 하지만 화재로 많은 전각이 소실되었다. 1968년 중창하였고 이후에도 산식각, 용왕각 등을 완공한 후 2018년 요사채를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반룡사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경산 반룡사 화문면석 부재 10여 점이 보관되고 있다. 이 밖에도 1741년 조성된 종형 부도 1기가 유존하고 있다.
일주문이 높히 솟은 느낌이다.
元曉聖師와 관련된 흔적이 많다.
![]() |
![]() |
기타 부속 건물.
![]() |
![]() |
오래된 사찰이라 관련된 石造遺物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
![]() |
![]() |
![]() |
의미가 있는 時.
접시꽃은 아직 봉우리만 맺고 있고,佛頭花는 만개했네.
![]() |
![]() |
담벼락엔 고들빼기가 꽃을 피우고,,,,
225.帝釋寺-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북사안길 18[북사리 226-1]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한국사찰전서』에 의하면 1625년(인조 3) 유찬(惟贊)이 창건하였다고 하며, 『삼국유사』의 “원효대사가 자신이 태어난 곳과 살던 집에 절을 세워 각각 사라사(裟羅寺)와 초개사(初開寺)로 하였다”는 기록에 주목하여 제석사가 곧 사라사라는 주장이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확실한 고증사료는 없다.
민족의 스승 원효성사 탄생지 제석사는 매년 성사탄신일에 맞춰 다례재를 봉행하는 한편 경산 지역민의 마음을 위로하는 열린 사찰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대웅전은 전체를 담을 수가 없네.
도천산 제석사에는 매년 茶禮齋가 연린다.2025년은 1408주기이네.
![]() |
![]() |
![]() |
元曉聖師殿과 그 흔적이 곳곳에 있다.
![]() |
![]() |
기타 부속 건물(왼쪽은 安心尞-안심료)
![]() |
![]() |
어러운 한자가 있는 우화당(愚𡾀堂)은 2019년 주지 慧能이 건립했다."화"를 사전에서 찾았는데 "빛날 화"이다.
"빛날 화"는 華 외에도 古字까지 몇 개나 있다.蕐,𡼀,䔢 등
尋釼堂(심인당)
아주 오래된 느릅나무가 일주문에 걸쳐 있네
2)에서 계속 적는다.
'旅行(僧伽藍摩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泉禪院 (0) | 2025.05.25 |
---|---|
마음으로 찾아 가는 寺(38회 차-2) (1) | 2025.05.21 |
僧伽란? (0) | 2025.04.29 |
마음으로 찾아 가는 寺(37회 차) (0) | 2025.04.27 |
마음으로 찾아 가는 寺(36회 차-2)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