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으로 찾아가는 寺(17회 차-2)
마음으로 찾아가는 寺(17회 차-1)에 이어서
121.安靜寺: 경남 통영시 광도면 안정1길 363.碧芳山(652m)에 있다.
종파는 대한불교법화종이다. 신라시대 654년(무열왕 1)에 원효가 창건하였다. 사세(寺勢)가 성했던 통일신라시대에는 14방(坊)의 건물을 갖춘 전국 굴지의 사찰이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 1309년(충선왕 1)에 회월선사(會月禪師)가 중건한 뒤 조선시대에는 1626년(인조 4), 1733년(영조 9), 1841년(헌종 7), 1880년(고종 17)에 각각 중수 또는 중건하였다. 송설호(宋雪虎)가 1950년대에 이곳으로 와서 계속 중건하여 이 절을 법화종에서 가장 큰 사찰로 만들었다.
일주문에 쓰인 산 이름이 壁鉢山이다.벽방산 외에 벽발산이라고도 부른다.鉢은 "바리때 발"이다
해탈교
![]() |
![]() |
![]() |
![]() |
보물도 있다
![]() |
![]() |
![]() |
![]() |
![]() |
![]() |
122.龍華寺:경남 통영시 봉수로 107-82
통영 용화사(統營 龍華寺)는조선시대의 절이다.彌勒山(일명 龍華山-458m)에 위치한다.
1983년 7월 20일 경남 문화재자료 제10호 용화사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지은 시기는 신라 27대 선덕여왕(632~646) 때에 恩霑(점)和尙이 초창하여 淨水寺라고 불렀다.조선 인조 6년(1628)에
큰 화재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고 그 뒤 여러 차례 복원하면서 절 이름도 '용화사'로 바뀌었다.
경내에는 절의 중심 건물인 보광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용화전 등의 법당이 있고 스님들이 생활하는 요사채와 해월루라는 누각이 있다.
용화사에는 보광전이 있다
큰법당과 설법전
![]() |
![]() |
海月樓와 佛舍利四獅子法輪塔
![]() |
![]() |
왼쪽 해월루 옆에 일주문 대신에 두개의 석주가 눈에 띈다.
離眞俗 取中道(진리와 세속을 떠나 중도를 취하라)와 彌勒山龍華寺이다
![]() |
![]() |
曉峰스님
![]() |
![]() |
오래된 사찰이라 주변 고목과 계곡이 좋구나.용화사로 가는 초입의 나무아미타불도 눈에 띈다
![]() |
![]() |
![]() |
![]() |
오늘 5곳의 사찰을 보면서 무엇을 느켜는가? 해월루 마루 벽에 걸린 글의 뜻대로 하였는지?
念佛三昧는 불교(佛敎)에서 마음을 한 가지 일에 집중(集中)시키는 일심불란(一心不亂)의 경지(境地)나 사물(事物)에 열중(熱中)함을 이르는 말.昧(어두울 매)는 1.어리석다 2.(날이)어둡다.
다음 18회 차는 남해군으로 가 볼 생각이다.
'旅行(僧伽藍摩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군의 명소를 찾아서 (0) | 2024.03.02 |
---|---|
마음으로 찾아가는 寺(18회 차) (0) | 2024.02.28 |
마음으로 찾아가는 寺(17회 차-1) (0) | 2024.01.17 |
마음으로 찾아가는 寺 (3) | 2024.01.11 |
마음으로 찾아가는 寺(16회 차-2) (0)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