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8

비(雨)의 종류

비(雨)의 종류-일기예보에 나오는 과학적인 근거가 아닌 다분히 감성적으로 雨를 구분해 본다 (漢詩를 보면 中國이 보인다.오 성수 지음에서 발췌한 것이다)1.甘雨:알맞은 때(가믐 끝에) 내리는 비   2.穀雨:24절기의 6번째(청명과 입하 사이)에 내리는 비3.久雨:오랫동안 내리는 비.장마             4.雷雨:천둥 소리가 나면서 내리는 비5.大雨:큰비                                           6.梅雨:매실이 익을 무렵에 내리는 비(6/10~7/10일경)7.猛雨:세차게 내리는 비                        8.暮雨:저녁 때 내리는 비  9.微雨:보슬보슬 내리는 가는 비             10.絲雨:실같이 내리는 가는 비 11.細雨:가랑비     ..

旅燈

旅燈     旅館殘燈夜   孤城細雨秋   恩君意不盡   千里大江流  -멀리 객지에서-   여관의 등잔불이  가물거리는 밤   외따로 떨어진 성에  가을 가랑비 내리네   님을 생각하는 마음  다함이 없어   천 리 강물처럼  흐르네  참고:  1.作者-申欽(朝鮮)  2.殘燈-깊은 밤 깜박거리는 등불  3.孤城-외따로 떨어저 있는 성  4.恩君意不盡-님 생각하는 마음 다함이 없어

閨情

閨情       月落星稀天欲明     孤燈末滅夢難成     披衣更向門前望     不忿朝來鵲喜聲          -님 그리워-     달 지고 별도 성기고    날은 밝아 오는데     스산한 등불 가물거리는데    잠도 오질 않네     옷 걸차고 행여 님 오실까    다시금 문 밖에 나서니     아침부터 부질없이 울어대는    까치가 무슨 죄 있으리오    참고:   1.作者-李端   2.閨情-규방에서 느끼는 정   3.天欲明-날이 새다   4.更向-다시 ~~로 향하다   5.鵲-까치 작.雀:참새 작

待山月

待山月      夜夜憶故人     長敎山月待     今宵故人至     山月知何在    -그 달은 어디에-  밤이면 밤마다 벗이 그리워 산 위에 뜬 달 못 본 체하였네 오늘 밤 드디어 벗이 오셨는데 산 위에 뜨는 그 달 어디 있는지 모르겠네참고:1.作者-皎然2.皎(힌 교)-희고 밝다.   皎月當空-밝은 달이 하늘에 걸려 있다3.宵(밤 소)-元宵는 음력 정월 보름달4.長敎-오랫동안~~시키다5.山月待-산 위에 뜬 달을 기다리게 하다   또는 못 본 체하다.

望夫石

望夫石              望夫石            江悠悠            化爲石            不回頭            山頭日日風和雨            行人歸來石應語               -그리운 님-                   님을 기다리는 곳           강물은 유유히 흐르는데           바위로 변해  머리를 돌리지 않네                                   산꼭대기에는 날마다 바람이 불고 비 내릴 뿐                                                       가신 그 님 돌아오면 바위는 응당 말하리라          참고:          1.作者-王建          2.江悠悠(유):강물이 느릿느..

春望詞

春望詞        風花日將老        佳期猶渺渺        不結同心人        空結同心草     -떠나는 봄을 그리며-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만날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라는고 참고:1.작자-薛濤(설도) 濤는 "물결 도"2.金億이 옮긴 同心草라는   노래로 알려졌지만 原典은   중국 唐의 妓生 薛濤가 지었다3.日將老-해가 지러 하다4.渺渺-멀고 아득한 모양 渺는 "오히려 묘"5.同心結-두 사람의 마음을 영원히 하나로 맺는다.

思念

思念     秋風淸     秋月明     落葉聚還散      寒鴉棲復驚     相思相見知何日     此時此夜難爲情      - 그리워하다-      가을 바람 맑고      가을 달 밝은데      낙엽은 모였다가는      다시 흩어지고                            처랑한 까마귀 잠자다가      이내 깜짝 놀라네       그리운 님 보게 될 날은      언제 쯤일까       이즈음 이 밤을      어떻게 보내야 하나      참 고:      1.作者-李白      2.이 시는  三五七言 형태다      3.寒鴉(큰부리 까마귀 아)-         늦가을 나무잎 다 떨어진         나무가지에 을씨년스럽게         앉아 있는 까마귀       4.棲復驚-자다가 깜짝..